본문 바로가기

소화쌤의 사주인생/📢 구구절절21

재성탈재, 비견과 겁재 그리고 개운법 사주는 년, 월, 일, 시를 천간과 지지로 나눠 천간으로 '년간', '월간', '일간', 시간' 지지로는 '년지', '월지', 일지', '시지' 총 8글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 일 월 년 0 0 0 0 천간 0 0 0 0 지지 이 8글자를 '사주팔자'라고 얘기합니다. 여기서 재성은 일간이 극하는 글자를 의미합니다. 甲, 乙 = 戊, 己 丙, 丁 = 庚, 辛 戊, 己 = 壬, 癸 庚, 辛 = 甲, 乙 壬, 癸 = 丙, 丁 내가 甲목일간이면 주변에 戊,己토가 있으면 재성이 있는 겁니다. 예) 시 일 월 년 0 甲 戊 0 천간 0 0 0 0 지지 재성을 가져오는데 있어 내가 신강하거나,신왕하면 적은 힘으로 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약하다면 돈을 가져오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신약 .. 소화쌤의 사주인생/📢 구구절절 2022. 8. 11.
재성과다와 개운법, 재성이 많다?!!, 재성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정재'와 '편재' 사주 내 어느 위치에, 또 어떤 재성이 있는지에 따라 그 쓰임새는 제각각 다릅니다. 사주에는 재성이 많아서 오히려 이를 활용하지 못하는... '재성과다'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재성과다는 내 사주에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재성을 지닌 분들을 말합니다. 예) 시 일 월 년 0 0 0 편재 천간 0 정재 정재 0 지지 (정재, 편재 구분 없이 세 개 이상) 우선적으로 사주에서 재, 재성이 많다는 건 '내가 할 일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재성을 자꾸 가져와야 하는 것이 그들의 숙명이기 때문입니다. 재성과다의 심리 '널려 있는 현실적인 재성이 많다보니 그걸 반드시 끌고 와야지만 내가 편한데... 보이기는 보이는데, 내가 끌고 올 수 없다는 생각에 늘 불안하고 .. 소화쌤의 사주인생/📢 구구절절 2022. 8. 9.
무재성사주, 돈 모으는 현실적인 3가지 방법 사주에서 돈은 '재성'이라고 칭합니다. 재성은 두 가지로 나누는데... 고정적이고 반듯한 재성인 '정재' 변화가 따르는 재성인 '편재' 사주 내 어떤 글자가 있는지에 따라, 또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재성의 쓰임새는 각각 다릅니다. 그렇다면 내 사주에 재성이 없는 즉, 무(無)재성이라면... 무재성 사주는 어떻게 돈을 모을까요? 총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바로 대운과 세운입니다. 즉, 대운과 세운에 재성운이 들어오는 겁니다. 대운은 10년 주기의 운을, 세운은 1년 주기의 운을 의미합니다. 누구나 10년에 한 번씩 운의 흐름이 바뀝니다. 이를 두고 '대운이 바뀌었다' 말합니다. 세운은 매년 찾아오는 운으로 2022년은 임인년이, 2023년은 계묘년으로 찾아옵니다. 두 번째, 배우자의 재성.. 소화쌤의 사주인생/📢 구구절절 2022. 8. 6.
사주 재성(돈), 정재, 편재의 다른 쓰임새 사주에서 재성(돈)은 2가지로 나뉩니다. '정재'와 '편재' '정재'는 반듯한 재성으로 매달 매달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재성을 의미하고, '편재'는 투자처럼 매번 달라지는 고정적이지 않은 재성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재성이 있는지에 따라 내가 어떤 재성을 활용해야 좋은지알 수 있습니다. ('나만의 돈 모으는 방법'을 참고해주세요.) 재성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그 쓰임새도 다를 수 있습니다. 만세력을 펼쳤을 때 예) 시 일 월 년 0 나 0 0 천간 0 0 재성 재성 지지 재성이 년지나 월지에 있다면, 나의 사회생활을 의미합니다. 즉, 사회생활을 통해 재성을 벌어들이는 사람입니다. '정재'라면 정재로서, '편재'라면 편재의 성향으로 버는 겁니다. 또한, 나의 부모님, 나의 환경이 나와 비슷한 성향을 .. 소화쌤의 사주인생/📢 구구절절 2022. 8. 3.
사주 재물, 나만의 돈 모으는 방법 재물, 돈을 모으는 방법은 현대인들이 가진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 누구는 부동산으로, 누구는 투자로, 또, 누구는 저축 및 적금 등으로 각자 열심히, 또 자신만의 방법으로 재물을 모으고 있습니다. 사주에서도 각자의 사주에 맞는 재물을 모으고 취하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크게 나눠서 저축과 투자의 방법입니다. 사주에서 재물을 '재성'이라고 합니다. 이 '재성'을 두 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바로, '정재'와 '편재'입니다. 정재(正財)는 반듯한 재물 즉, 고정적인 수입을 말합니다. 월급처럼 한달 한달 정해진 재물을 의미합니다. 편재(偏財)는 치우친 재물 즉, 고정적이지 않은 수입 투자처럼 매번 달라지는, 투자를 통해 목돈을 번 재물을 의미합니다. 만세력을 펼쳐서 보면 예) 시 일 월 년 0 나 0 0 천간 .. 소화쌤의 사주인생/📢 구구절절 2022. 7. 31.